- 간단한 다이아몬드 유사석 감별법
1) 다이아몬드와 모조석 표면에 입김을 불어서 각기 표면에 생긴 응결 현상이 없어지는 속도를 보는 방법: 다이아몬드는 물과 친화력이 없으므로 금방 사라진다.
2) 물방울 검사: 다이아몬드와 모조석 표면에 작은 물방울을 만들면 다이아몬드에서는 물방울이 오랫동안 모여 있으나, 모조석에서는 물방울 금방 퍼진다.
3) 펜 검사: 특수 유성잉크를 넣어 사용하는 다이아몬드 펜으로 직선을 그을 때 다이아몬드는 선으로 그어지지만, 모조석에서는 잉크가 방울방울 떨어진다.
4) 투과 판독: 이상적인 비율로 컷팅 된 브릴리언트형 다이아몬드의 테이블 면을 직선이나 글자가 쓰인 흰종이 위에 놓으면, 크라운으로 입사한 광선이 퍼빌리언 밖으로 통과하지 않으므로 직선이나 글자가 보이지 않게 된다. 그러나 모조석 에서는 빛이 많이 통과하게 되므로 직선이 보이게 된다. 돌의 굴절율이 낮을수록 투과판독 효과가 크다.
5) 열 전도율계: 열 전도성이나 반사도를 측정할 수 있는 다이아몬드 테스터를 사용하면 가장 확실하게 식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모이사나이트가 다이아몬드 감별에 사용되던 열전도 테스터기를 통과하는 특성이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다만, 광학적 특성에서 다이아몬드가 단굴절인 반면 합성 모이사나이트는 복굴절이므로 더블링 등의 결정적인 감별 포인트가 있다.
6) 다이아몬드와 모조석들의 경도 차이: 다이아몬드는 높은 경도를 가져 패싯과 패싯의 경계선들이 아주 날카로우나, 유사석들의 패싯 능선부는 약간 둥그스름하되므로 식별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또한 강옥으로 그었을 때 긁히지 않으면 다이아몬드이다.
7) 연 X선(Soft X-ray) 조사: 연 X선을 쪼이게 되면 다이아몬드는 가벼운 탄소로 되어 있으므로 거의 모든 X이 통과하지만, 기타 모조석은 원자번호가 큰 원소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X선을 상당량 흡수한다. 따라서 다이아몬드와 모조석을 필름 위에 놓고 X선을 통과시키면 노출정도에 차이가 있다.
8) 투영법: 보석을 옥화메틸렌 용액에 넣고 테이블을 밑으로 해서 침적시킨 후 흰 배경 위에서 펜라이트와 같은 광원을 비추어 비친 그림자를 보고 식별한다.
9) 침적법: 보석을 옥화메틸렌 용액 속에 침적시켜 릴리프(Relief: 윤곽)을 관찰한다. YAG → GGG → C.Z → 스트론튬 티타네이트 → 다이아몬드 순으로 릴리프가 높다.
10) 더블링: 합성 루틸은 복굴절율이 커서(0.287) 극히 강한 더블링 효과를 나타낸다. 지르콘도 더블링이 나타난다.
11) 연마선의 방향: 다이아몬드의 연마선의 방향은 면마다 틀리나 유사석은 대개 면마다 연마 방향이 같다.
12) 다이아몬드의 전형적인 특징인 성장마크(Trigon)와 그레인 라인을 관찰한다.